반응형

추경이란 말이 요즘 자주 언급되고 있네요. 오늘 신문기사에서도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었네요. 어떤 말인지 이해되시나요?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추경안(11조 7,000억원)에 6조원 이상을 증액하게 된다면 코로나로 인한 추경 규모가 18조원을 넘게 될 것이다.

오늘은 추경을 하면 어떤 혜택이나 효과가 있고 또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살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국가의 재산이지만 우리의 재산을 사용하는 셈이니까요. 올해 우리나라 1년 국가예산이 512.3조원이라는 것을 기본적으로 알고 보시면 오늘 이야기가 좀 더 유익하겠죠?

1. 추경의 의미에 대해 알아봅시다.

추가경정예산(追加更正豫算)’를 줄여서 그렇게 부른답니다. 한자 지식은 짧지만 해석하자면 추가로 새로 예산을 고친다라는 뜻이에요.

예를 들자면 여러분이 겨울 휴가에 따듯한 다낭에 놀러 갔어요. 미리 예산을 다 짜놨지만 막상 베트남에 놀러 가서 불행한 사고가 난다거나 갑자기 쇼핑을 더 하고 싶어 질 수 있잖아요? 그러면 우리는 추경을 해야겠죠. 다음 달 카드 값 따위는 눈에 안 보이는 거죠.

참고로 예산안은 기획재정부에서 수립하고 국회가 결정하게 되어있어요.

 

2. 추경의 필요성이나 혜택을 알아볼까요?

먼저, 추경의 사례와 역사를 2012년 전 까지 10년 정도 조사해봤어요.

추경 실시 연도

추경 실시 규모

2002

41천억

2003

75천억

2004

25천억

2005

49천억

2006

22천억

2008

46천억

2009

284천억

몇 년을 제외하고 꾸준하게 추경이 이뤄졌었네요. 이제 필요성에 관해서 두 가지 사례를 말씀드리면 금방 이해되실 겁니다. 두 해의 경우를 보도록 하죠.

2008년에는 당시 유가가 워낙 비싸져 자동차를 운행하기 부담스러울 정도로 국민생활에 어려움이 있다 보니 이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 추경을 했었습니다.

그리고 2009년에는 역대급 추경을 통해 고용 및 실직자의 직업 훈련 등 일자리 부분에 대규모 추경을 했었네요. 미국 발 금융위기로 한국경제에 큰 어려움들도 있었기 때문에 결국 대내외적인 경제 문제 해결이 1차적인 이유이자 필요성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런 경제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가뭄, 장마로 인한 수해 등 천재지변에 대한 대응책이기도 하고요. , 그럼 이쯤에서 한 가지 의문이 들게 되겠네요. 추경을 하면 일자리도 생기고 우리 집 기름 값도 내려가는 데 마냥 좋은 거 아닌 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네, 아닙니다.

나라살림은 국민의 세금이 수입이고 우리는 이를 세입(稅入)’이라고 해요. 그리고 세입을 사용하는 것을 세출(稅出)’이라고 하죠. 개인이나 가정 나아가 한 국가를 운영한다는 건 결국 돈이 필요한 일입니다. 개인으로 말하자면 월급, 국가로써는 충분한 세입이 바탕이 되어야 쌀이라도 한 톨 사 먹을 수 있는 겁니다.

그런데 세입이 부족한데 이러한 예기치 못한 상황 때문에 세출을 늘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개인은 은행에서 대출을 받겠죠? 국가도 마찬가지입니다.

정부는 국채를 발행하거나 해서 빚을 내서 재원을 만들어 내야합니다. 결국 빌린 돈은 언젠가 갚아야 하는 빚이고요. 그렇게 어려움에 처한 나라들은 당장 그리스만 봐도 알 수가 있습니다.

지금은 여러 가지 딜레마가 있을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당장 자영업 하시는 분들에게 생존의 문제가 되어버렸기에 반드시 도움이 필요하고 또 한 편으로는 국가 빚의 증가속도가 너무 가파릅니다. 아무쪼록 적은 추경으로 실질적으로 어려움에 처하신 분들께 큰 혜택으로 돌아갔으면 합니다. 지금 상황은 인간적 연민과 양보가 없으면 공멸할 수 밖에 없는 흐름으로 가고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저는 금을 5천만원 정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관심이 많죠.

 

그동안의 상황을 지켜보니,

 

 

금의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달러, 금리 뿐 만 아니라 

 

경제적 상황과 맞물린 심리적인 부분으로써의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도 등이

 

복합적인 관계 형성을 이루며 그 가치를 만들어 냈습니다.


이미 포스팅해드린 바 있죠?

 

10간의 시세 변화를 당시의 경제적인 상황과 연결할 수 있어야 미래를 예측하는 일이 가능해질 것이기에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https://hellotalk.tistory.com/42

 

과거 금값 10년 변화 분석 및 오늘 시세 확인 feat. 올웨더포트폴리오

반드시 '금'을 넣어야 한다. 최근 세계 최대의 헤지펀드사의 ceo 레이 달리오가 한 말입니다. 포트폴리오에 금을 넣어두어야 위험은 줄이되 수익은 높여줄 것이다라고 하였죠. 봄이 지나면 꽃을 �

hellotalk.tistory.com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 가정에 위기가 닥치거나 소중한 사람에게 무언가를 선물하기 위해

 

아쉬운 마음 또는 기쁨으로 금을 내어 놓는 장면이 많이 나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소중한 금을 높은 가격에 잘 파는 법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가장 먼저 할 일은 오늘의 시세를 확인하셔야 팔 때인지 안 팔 때인지 결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순금의 1g당 가격이 한 두 푼이 아니고 워낙 고가이기 때문입니다. 


한국 금 거래소로 바로 이동해서 금 한 돈이 얼마인지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에서 바로 확인하는 방법도 많이 쓰고 계시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제 확인이 끝났다고 바로 금은방으로 달려가서 금을 파실 생각인가요?

 

조금이라도 더 비싸게 팔고 싶으시면 전화로 조금 더 매입 가격을 확인해 봐야 합니다.

 

한국 금 거래소의 다양한 지점에 직접 확인해보시고

 

거주지역 인근에 반드시 전화를 먼저 해보시기 바랍니다.

 

서울지역의 사진은 아래와 같습니다.

 

전국의 금 거래소를 검색해보시면 주소와 전화번호를 바로 찾아보실 수 있고

 

실제로 몇 통의 전화로 훨씬 좋은 가격으로 금을 파실 수도 있습니다.

제가 직접 그 방법을 실행하여 한 지점 사이트에 접속해보니 바로 매입 가격을 알 수도 있었습니다.

방법도 생각보다 너무 쉽고 어쩌면 계산기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쉬운 것 같습니다.

 

다른 지점도 방법은 대동소이할 것으로 생각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돈으로 계산할 수도 있고 1그램으로도 팔 때 살 때 가격을 바로 알 수 있어서

 

전체적인 파악을 하기가 편하고 좋습니다.

 

그럼 여러분의 소중한 금덩어리 시세보다 좋은 가격에

 

오늘 제가 내본 견적의 가격보다 잘 파시기 바라겠습니다.

오늘의 금을 높은 가격에 잘 파는 이야기에 관한 포스팅은

 

이 정도로 마무리하도록 하고 다음 포스팅에서도 여러분들의 경제적인 부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연구하고 안내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반드시 '금'을 넣어야 한다.

 

최근 세계 최대의 헤지펀드사의 ceo 레이 달리오가 한 말입니다.

 

포트폴리오에 금을 넣어두어야 위험은 줄이되 수익은 높여줄 것이다라고 하였죠.


봄이 지나면 꽃을 그리워하고 여름이 가면 물놀이를,

 

또 가을이 가면 형형색색 단풍과 겨울이 지나서야 우리는 첫눈의 설렘을 그리워하죠.

 

올웨더 포트폴리오는 그래서 미리 준비해야 한다는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자산의 배분을 통해 봄, 여름 가을, 겨울 어떤 계절(위기이자 기회)이 오더라도

 

그 계절의 기쁨을 만끽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오늘은 일단 금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 할까 합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과거의 금값 변화 추이 및 시세 전망에 대한 예측까지 포스팅을 해드린 바 있습니다.

 

20년 전부터 그래프를 분석해드렸고 향후 전망까지 예상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금테크에 관심있는 분들은 먼저 그 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포스팅 주제: 과거의 금값 10년 변화 및 향후 시세에 관한 전망 by 똑똑한 이선생 예측

 

, 오늘은 10년 전/5년 전/1년 전 과거 국제 금값 변화 그래프와

 

오늘 한국 금 시세가 얼마인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국제 금값 그래프부터 확인할까요?

 

10년 동안의 차트입니다.

 

2011년부터 현재까지 10년간의 추이를 보여주고 있죠.

 

2013년 초부터 하락세를 이어가다가 2015년 말

 

최하점을 찍고 저점을 천천히 높여가며 상승하는 모습입니다.

 

1400USD / OZ를 넘어서며 상승세에 탄력이 붙은 모습이네요.

과거 5년간에는 어땠는지 좀 더 확대해볼까요?

 

지나고 보니, 20196월이 의미있는 시점으로 보입니다.

 

어쨌든 1350 USD / OZ에서 전고점을 뚫고 상승세로 돌아섰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 이제 최근 1년간 변화를 확인해보겠습니다.

 

최근의 급격한 상승 뒤에 다소 조정구간에 돌입한 모습입니다.

지난번에 말씀드렸던 대로 경제에는 사람들의 심리라는 게 변수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가 발생하는 것이죠.

 

아무래도 차익실현에 대한 욕구가 발생하다 보니 단기적으로 이러한 현상이 생긴 것으로 보입니다.

혹시 연도별 국제 금 시세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kitco.com 사이트에서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우측 상단의 차트를 클릭하신 후에 기간을 설정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오늘 우리나라 시세를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금거래소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돈이 3.75g 이라는 건 알고 계시죠?

한 돈을 살 때(부가세 별도) 241,000원을 내야 하고 팔 때 219,000원을 받게 되니까

 

섣부르게 투자하기에는 망설여질 수밖에 없습니다.

 

어쨌든 1g의 가격이 어마어마합니다.

 

집 어딘가에 금붙이가 없는지 찾아봐야겠어요. 이밖에도 확인할 수 있는 것들이 많네요.

 

24K인 순금, 14K, 18K, 백금, 은 시세 등도 실시간으로 한 번에 볼 수 있습니다.

 

경제위기를 겪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자산을 배분하는 일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부동산에 전재산을 투자한다면 부동산 하락과 함께 거대한 리스크에 직면하고

 

은행에 모은 돈 전부를 예치하면 금리인하와 함께 물가상승률 대비 자산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올웨더 포트폴리오를 구성, 자산을 배분한다는 관점에서

 

금에 대한 끝없는 관심을 지녀야 할 때입니다금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 더 이어나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hellotalk.tistory.com/28

 

과거의 금값 10년 변화 및 향후 시세 전망 BY 똑똑한 이선생 예측

오늘은 국제 금 시세를 통해 금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조금 더 심도 있고 정확한 전망을 위해 2000년 이후부터 20년간의 데이터를 먼저 보여드리겠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끝까지 잘

hellotalk.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