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직원공제회의 장기저축 급여를

 

증좌 할지 감좌할지에 대한 포스팅을 하다 보니

 

경찰/소방/과학기술인 공제회의 목돈수탁 이율이나

 

구좌 수 증감 등에 대한 포스팅(연복리 및 예적금 등)을 연이어 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정작 중요한 질문이 하나 빠졌네요.

 

과연 우리 공제회에서 받는 연복리로 받으면 우리는 얼마를 받는다는 말이지?

 

참고로 월복리와 연복리의 개념은 말그대로 기간에 의한 이율 차이가 있다는 점을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월복리에 대한 개념은 이미 아래 제목으로 포스팅해 두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포스팅명: 매달 10/20/50/100만원 단리 복리 계산 차이 및 결과

 

아무튼 공제회 포스팅 과정에서 등장한 개념이 연복리의 개념이었고 그 이율에 대한 안내도 이미 드린 바 있습니다. 관련 포스팅의 제목은 아래와 같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포스팅명: 공제회 장기저축 증감좌 주관적(객관성을 전제한 뇌피셜) 전망 시리즈 2 feat. 현직 교사


, 그럼 네가지 공제회의 연 복리에 맞춰서 같은 기간 같은 액수(10만원)를 매달 납입할 때의 결과 값을 얻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단순하고 직관적인 이해를 위해 이자에 대한 세금 문제는 제외시키도록 하고 1년을 기준으로 현재 각각의 이율로 계산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이자소득세는 편의를 위해 일괄적으로 15.4%로 해두었습니다.


1. 교직원공제회의 결과 값을 먼저 얻어볼까요?

 

10만원을 매달 납부하니 원금 120만원 세전이자 24,173원이네요.

세후 이자에 대한 것은 다른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군인공제회의 결과 값입니다.

10만원을 매달 납부하니 마찬가지로 원금 120만원, 세전이자 22,180원이네요.

세후 이자에 대한 것은 다른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경찰공제회의 결과 값을 알아볼까요?

10만원을 매달 납부한다면 원금 120만원 세전이자 23,114원이네요.

세후 이자에 대한 것은 마찬가지로 다른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마지막으로 소방공제회의 결과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10만원을 다달이 납부하면 원금 120만원, 세전이자 19,862원이네요.

세후 이자에 대한 것은 다른 글을 참고해주세요.

 

물론 위의 결과 값은 향후 가입해야 하는 기간 및 예측 불가능한 금리 변화, 저율과세 여부에 의해 다소의 차이는 발생할 것입니다.

하지만 현재 시점에서 1년간 납부 할 때 대략적임 금액을 예상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결과를 가지고 있어야 시중은행과의 비교도 가능할테니까요. 그에 대한 힌트는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교직원공제회 장기저축 feat. 현직교사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아무튼 꼼꼼하게 비교 분석하셔서 한 푼이라도 경제적 이득을 얻으시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아마 다른 글들도 찬찬히 살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 거예요.

반응형
반응형

교직원/경찰/소방/과학기술인 공제회의 장기저축 및 예적금 포스팅을 하면서 복리 안내를 해드렸는데, 관련해서 복리의 마법으로 불리는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직접 계산을 해보았습니다. 단리와 복리, 예금과 적금의 차이는 기본적으로 아신다고 보고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1. 10만원 10년 적금 납부 시 단리 계산 결과 이자는?

매달 10만원을 10년간 단리 2%로 납부하면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금1,200만원 + 세전이자121만원 - 이자소득세금(15.4% 일반세율 적용)186,340=만기지급액 13,023,660원이 나옵니다.

 

2. 10만원 10년 적금 납부 시 (월)복리 계산 결과 이자는?

매달 10만원을 10년간 월복리 2%로 납부시 위처럼

원금1,200만원 + 세전이자1,294,085원 - 이자소득세금(15.4% 일반세율 적용)199,289 = 만기지급액 13,094,796원이 나옵니다.

단리와 복리의 결과 차이는 71,136원입니다. 작은 돈으로 느껴지시나요?

10만원 납부 시 결과가 71,136원이라면 매달 20만/50만/100만원을 납부한다면 결과는 다음과 같겠죠?

) 20만원 -> 142,272

) 50만원 -> 355,680

) 100만원 -> 711,360

매달 백만 원을 납부한다고 가정하면 10년 후 이자는 무려 70만원 이상이 차이가 납니다.

, 그럼 예금으로 계산해볼까요? 계산 편의를 위해 1000만원을 10년간 거치하는 것으로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자율도 마찬가지로 2%로 계산할게요.

1. 예금 1000만원 10년간 예금 납부 시 단리 계산 결과 이자는?

원금1000만원 + 세전이자200만원 - 이자소득세금(15.4% 일반세율 적용)308,000 =

만기지급액 11,692,00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예금 1000만원 10년간 예금 납부 시 (월)복리 계산 결과 이자는?

원금1000만원 + 세전이자2,211,994원 - 이자소득세금(15.4% 일반세율 적용)340,647 =

만기지급액 11,871,347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리와 복리의 차이가 179,347원의 차이가 납니다.

1000만원 예치 시 결과가 179,347원이라면 2000/5000/1억원을 예금한다면 결과는 다음과 같겠죠?

) 2000만원 -> 358,694

) 5000만원 -> 896,735

) 1억원 -> 1,793,470

1억원을 예금한다고 가정하면 10년 후 이자는 무려 180만원 정도 차이가 납니다.

이상으로 단리와 월복리의 차이 및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런데 눈치 채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군인/경찰/소방/교직원 공제회에는 월복리가 아닌 연복리라는 문구를 보셨을 겁니다. 그래서 다음 시간에는 지금 우리가 받고 있는 연복리로 납입금액을 얼마 납부하면 얼마를 받게 되는지 포스팅을 준비하도록 할게요. 그래야 우리가 증좌할지 감좌할지 결정할 때 판단할 수 있을테니까요.

반응형
반응형

과학기술인공제회는 타 기관에 비해 회원들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상품이 있는 것 같습니다.

 

크게는 연금, 공제(적립형공제, 목돈급여, 과학기술인으뜸적금, 대여사업 등), 복지 등의 항목이

 

적절하게 잘 갖추어져 있네요.

그럼 우선 연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목적

- 한국의 출산율이 세계 최저 수 준인 시점에서

고령화로 인한 노후 준비의 필요성이 커지고 기존의 퇴직금제도의 문제점인

퇴직 이후의 안정적인 삶에 기여하기보다 생활안정자금으로

단기간에 사용돼 버리는 문제점을 보완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개인 / 퇴직 / 국민 연금이라는

 

탄탄한 3중의 연금 보호체계를 만들어 점차 장기화 되어가는 노후를

 

안정감있게 지탱해주는 역할을 하겠네요.

 

이정도 연금체계를 갖춘다면 미래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은 사라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우리나라가 사실상 이공계에 종사하시는 분들에 의해

 

세계 10위권대의 경제 수준을 자랑함에도 불구하고 이공계에 대한 처우나 인식이

 

좋지 못한 것에 대한 일종의 보상 차원이 있다고 합니다.

2. 운용방법의 선택

본인의 상황을 고려해서 투자기간이 길면 수익의 변동 폭이 큰 투자대상에 장기 투자함으로써 안정적인 수익을 얻는 편이 좋고 반대로 단기투자라면 변동성이 적은 자산 비중을 늘리는 것이 안전한 투자방법으로 소개되고 있습니다.

본인의 투자성향을 알고 그에 맞춰서 상품을 선택하는 방식은 합리적이지만

금융지식이 부족한 분들에게는 쉬운 일이 아닐 것 같습니다.

어쨌든 원금 손실 없이 작은 이자수익을 얻으실 분들은 원리금보장을,

 

조금 더 공격적인 투자성향과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금을 운용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펀드형을,

 

중간을 원하시면 50/50으로 분배하여 선택하실 수 있게 다양한 선택권이 존재합니다.

 

다른 공제회와 달리 회원 본인의 선택과 책임을 중요시하는 듯합니다.

 

공제상품에 대해 간단히 요약하여 정리해보겠습니다.

 

1) 적립형공제

1) 가입대상은 과학기술인공제회법 제6조에 의한 과학기술 관련 종사자에 해당

2) 매월 일정 금액을 납입하고, 퇴직 시 일시금으로 목돈 수령, 혹은 연금으로 분할 수령

3) 이자소득에 대한 세제혜택 제공

*이자소득세가 15.4%가 아닌 0~4% 내외로 저율 과세되며,, 금융소득 종합과세에 포함안됨 (일시금 및 연금으로 분할 수령할 때에도 마찬가지 적용)

4) 적립형 공제급여를 담보로 대여 가능

5) 납입방식은 기관회원(급여 자동공제), 기술사회 회원(공제회에서 지정한 방법으로 납부)

6) 가입한도는 1구좌는 1만원으로 5구좌에서 최대 200구좌까지, 5구좌 단위로 선택하여 가입 가능하며 3개월 단위로 감좌 및 증좌 가능

7) 납부유예제도를 통해 탈퇴 등으로 인한 이자 손실 없이 복직 시점까지 납부금을 유예할 수 있음

8) 회원지급률은 연복리(변동금리)

9) 공제사업 운영 중 사업 손실금이 발생 시, 사업결손금은 자본금으로 보존하고 필요시 정부로부터 보조금과 출연금 지원이 가능

 

2) 목돈급여는 두 가지 방식이 있네요. 목돈(일시금형)과 목돈(적금형)이 있고 마찬가지로 시뮬레이션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가입한도는 3백만원 ~ 5억원까지 1백만원 단위로 가입할 수 있네요.

<, 연금지급형(10년/15년/20년)의 최소 가입금액은 3천만원>

3) 과학기술인으뜸적금

 

회원이 자율적으로 가입기간과 금액을 정할 수 있는 정기 적금형 상품으로 1/2/3/5년 중에 선택을 할 수가 있네요.

 

회원 지급률을 살펴볼까요?

가입기간

1

2

3

5

회원 지급률(이율)

2.8%

3.0%

3.2%

매월 10만원 납부한다고 가정하고 지급률 표 예시를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과학기술인공제회 적금 및 예금, 연금에 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